본문 바로가기

부동산ㆍ세금ㆍ제도/보유세 및 세금 제도정책16

종합소득세 근로소득세 신고대상 제외대상 차이점 분할납부방법 알아보기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입니다. 이미 5월은 지났지만 연말정산 때 근로소득세를 신고하기에 미리 알아보면서 근로자에겐 비교적 생소한 종합소득세에 관해 좀 더 세부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종합소득세와 근로소득세는 둘 다 소득세에 해당하지만 엄연히 다른 개념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근로소득세와 종합소득세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알아보고, 종합소득세의 신고대상과 제외대상, 분할 납부방법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겠습니다. 근로소득세란 근로소득세는 근로자가 근로소득으로 월급을 받을 때 납부하게 되는 세금으로, 회사에서 원천징수하여 국가에 납부하기 때문에 근로자가 따로 세금신고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매년 연말정산 시점에 개인별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내역을 정산하기 때문에 추가로 세금을 납부하거나 환급받.. 2023. 9. 24.
출산가구 취득세감면 추진일정 한도 2023년 지방세제 개편안 앞으로 출산 가구가 실거주를 목적으로 주택을 취득하면 취득세를 500만 원 한도까지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행안부에서 23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출산가구의 취득세에 관한 면제 및 감면을 개정안에 반영했는데요, 출산 가구의 주택 취득 비용을 줄이고 더 나은 양육 환경을 제공한다는 취지 이므로 자격이 되시는 분들은 활용하셔서 세금부담을 줄이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이 같은 좋은 취지의 출산가구의 취득세 면제에 대한 추진일정과 한도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산가구 취득세 감면 신설 내년부터는 출산 가구가 실거주 목적으로 주택을 취득하면 최대 500만 원 한도까지 취득세를 면제합니다. 행안부는 17일 제2차 지방세발전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지방세입 관계 5개 법률 개정안을 확정했습.. 2023. 8. 27.
종부세 분납신청방법 분납가능금액 분납기간 납부유예 가산세 납부기한연장 종합부동산세(이하 종부세)는 국세청에서 세액을 계산하여 납세 고지서를 발부합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납부액이 크게 늘어나면서 세금납부에 불만이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납세자들이 많아졌습니다. 당장 고지된 종부세를 제 때 납부하기 어려운 납세자들은 나누어내는 분납이나 납부를 뒤로 미루는 납부유예, 납부기한 연장을 많이 문의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종부세의 분납신청방법과 납부유예 도입과 신청방법, 납부지연에 따른 가산세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종부세 전자신고 방법 전자신고 : 공동인증서를 이용해 홈택스(홈택스 바로가기)에 접속 후 → 공동인증서 로그인 → 신고/납부 → 세금신고→ 종합부동산세→ 정기신고 이외의 방법 : 국세청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작성해 우편으로 제출하거나, 관할 세무서를 방문해 신고서 작성.. 2023. 7. 2.
재산세 기준일 납부기간 계산방법 분할납부방법 7월은 부동산 주택분에 한하여 재산세 분납제도 납부가 시작됩니다. 올해 6월 1일 기준으로 주택을 소유한 사람은 주택분 재산세 산출세액을 절반씩 나누어 1차분은 7월 말까지, 2차분은 9월 말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오늘은 부동산 보유세 세금 중 하나인 재산세의 계산방법, 분할납부방법, 기준일, 납부기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산세 기준일과 취득기간 시점 납세자는 누구 재산세의 과세기준일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6월 1일입니다. 6월 1일 기준으로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부과된다는 의미이고 재산으로 인정되는 과세대상은 토지 및 건축물, 주택, 선박, 항공기입니다. 그러므로 6월 1일 기준으로 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항공기를 소유하고 있다면 누구나 재산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여기서 알고 넘어.. 2023.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