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ㆍ세금ㆍ제도/보유세 및 세금 제도정책

2023년 개정된 소득세 과세 표준 구간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by Annie33 2023. 6. 10.
반응형

 우리는 급여를 수령할 때 의무적으로 원천징수되는 세금을 납부합니다. 하지만 한 달 동안 열심히 일한 대가로 급여명세서를 받아보고는 소득세와 4대 보험의 공제액이 생각보다 많이 떼간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오늘은 2023년 개정된 근로소득세 세율표를 알아보고 원천징수 산정 시 반영하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개정된 소득세 과세 표준 구간(근로소득세율표)

근로소득세와 지방소득세란

모든 소득에는 세금이 부과됩니다. 근로소득세는 근로 계약에 의해 근로를 제공하고 받는 대가(금전)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근로소득세는 소득에 따라 세율이 각각 다르게 구분되며 소득이 많아지면 세율이 높아지면서 누진세가 적용됩니다.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세율이 최저 6%에서 최고 45%까지 나눠져 있습니다. 또한 여기에 추가로 근로소득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방소득세로 납부해야 합니다.

  • 근로소득세 : 근로소득자가 납부하는 세금 - 소득에 따라 세율 구분
  • 지방소득세 : 근로소득세의 10% 금액 납부(지방세)
  •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모두 원천징수 세금으로 매월 급여에서 공제

개정된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2023년 개정된 소득세 과세 표준 구간입니다.
2023년 개정된 소득세 과세 표준 구간

 개정된 근로소득세율은 위의 표와 같습니다. 작년까지는 1~3번 구간이 소득이 1,200/4,600만 원이었지만 소득세법의 개정으로 인해 1,400/5,000만 원까지 확대돼 5천만 원 이하 구간에 속하는 사람들의 세부담이 소폭 완화됐습니다. 즉, 내 과세표준 금액이 5,000만 원 이하였다면 소득세 부담이 완화되는 것이고, 나머지 5,000만 원 이상부터는 소득세는 그대로 적용됩니다. 이번 소득세 구간 개정 이유는 경제, 사회 부문 서민들과 중산층을 위한 세금 부담 완화를 위해서라고 합니다. 

과세표준이란

  • 과세표준 = 차감소득금액 - 그 밖의 소득공제 + 소득공제 종합한도초과액

 이렇듯 나의 소득세율 이 궁금하다면 그 기준이 되는 과세표준금액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1. 총 급여액 = 연간 근로소득 - 비과세소득(식비 등)
  2. 근로소득금액 = 총 급여액 - 근로소득공제
  3. 차감소득액 = 근로소득금액 - 소득공제
  4. 과세표준 = 차감소득금액 - 그 밖의 소득공제 + 소득공제 종합한도초과액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조회

 국세청 홈텍스(국세청홈텍스 바로가기) → 조회발급 →기타 조회 →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한글, 액셀, PDF 다운로드)

근로소득간이세액표 파일 다운로드 경로입니다.
근로소득간이세액표 파일 다운로드 경로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이용 방법

공제대상가구의 수 =  실제 공제대상가족의 수 + 8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의 수 (본인 및 배우자도 각각 1명으로 계산)

원천징수세액 산정방법입니다.
원천징수세액 산정방법

 대부분의 회사는 매년 국세청에서 발표하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참고해서 반영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